반응형
원격 데스크톱 연결 후에 발생하는 멈춤 현상은 많은 사용자들이 경험하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. 특히, 원격 데스크톱 연결 시 클라이언트가 주기적으로 멈추거나 연결이 불안정한 경우, 이는 UDP 프로토콜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, "클라이언트에서 UDP 비활성화" 설정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.

문제 상황
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사용할 때, 사용자 중 일부는 연결이 주기적으로 멈추거나 끊기는 문제를 경험합니다. 이러한 현상은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발생할 수 있으며, **UDP(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)**가 그 원인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. UDP는 속도와 효율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지만, 일부 네트워크에서는 패킷 손실이 발생해 원격 연결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.
해결 방법: Turn Off UDP On Client 설정
UDP를 비활성화하면 원격 데스크톱 클라이언트가 TCP 프로토콜만 사용하게 되어, 네트워크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. 이 설정을 통해 원격 데스크톱 연결 후 멈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
단계별 설정 방법
- Windows키 + R을 눌러 실행 창을 엽니다.
- **gpedit.msc**를 입력한 후 Enter를 눌러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를 엽니다.
- 좌측 메뉴에서 다음 경로로 이동합니다:
- 컴퓨터 구성 > 관리 템플릿 > Windows 구성 요소 > 터미널 서비스 > 원격 데스크톱 연결 클라이언트
- 오른쪽에서 "Turn Off UDP On Client" 항목을 찾습니다.
- 해당 항목을 더블 클릭하여 열고, 설정을 **"사용"**으로 변경합니다.
- 적용을 클릭한 후 확인을 눌러 설정을 저장합니다.
효과
이 설정을 적용하면, 원격 데스크톱 클라이언트는 UDP 대신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되어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패킷 손실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원격 데스크톱 연결 시 발생하는 멈춤 현상을 완화하거나 해결할 수 있습니다.
결론
원격 데스크톱 연결 후 멈춤 현상은 상당히 불편한 문제지만, UDP 프로토콜을 비활성화하는 간단한 설정 변경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. 이 설정은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일 수 있지만, 많은 사용자들이 이를 통해 더 안정적인 원격 연결 환경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. 원격 데스크톱을 자주 사용하는 분이라면, 이 방법을 시도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출처: https://holjjack.tistory.com/202 [정리하며 배우다.:티스토리]
반응형
댓글